안녕,

나 양벼락이야.

하이루? (^ㅡ^)/ 엘덕들아, 육아 번아웃으로 인해 정리병자로 살았던 최최애의 2024년 이야기 잘 읽었니? 번아웃이라고는 하지만 자신을 잃지 않기 위해 버킷리스트 중 하나였던 미술 수업하기도 실행에 옮겼던 우리 최최애, 대학생 때 그렸던 그림들과 그 그림들을 그리기 위해 찍은 수많은 사진들을 다시 보면서 살아온 삶을 정돈 했던 우리 최최고 최최애. 그 시기를 겪어 나가는 중에는 분명히 고민으로 괴로웠을테지만 지나고 보니 자신을 재건하는 시간이었던 것 같아.


특히 최애의 작품이 추상화인 줄 알았던 나의 무지함 덕분에 최애의 작품이 '사진'을 베이스로 작업됐다는 걸 알게 된 부분이 놀라웠어. 아니, 내가 이렇게나 따라다니고 좋아하는 최애의 작업이 무엇을 바탕으로 했는지 이제야 제대로 알게 되다니 ㅋㅋㅋ 정말 부끄럽지만 이제라도 알게 되었으니 더 열심히 덕질할 수 있는 계기가 생긴거라고 생각해야지!


그런데 우리 최애가 지금의 '빛그림자'를 처음부터 그릴 수 있었던 건 아니래. 심지어 전 고용주, 현 남편의 영향으로 '극사실주의'를 접하면서 빛그림자를 그리게 되었다면 믿어지니? 일루젼과 하이퍼리얼리즘! 이 안 어울리는 조합에 대해 더 자세히 덕질해보자


<인터뷰를 빙자한 덕질, 덕터뷰> 최윤정 3

추상 같은 구상

일루젼은 추상화가 아니엇따...(부끄)

💬 엘덕후: 작가님께서 사진을 보고 그렸다고 하니 이제서야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지만 사실 아직도 놀라워요. 저는 그림 속의 동그랗고 흐릿한 듯한 빛이 어떤 관념을 그린 거라고 생각했거든요. 색감도 현실에서 보기 힘든 몽환적인 느낌이 있고, 제목도 Illusion 이잖아요!

💬 최최애: 네 아마도 그림에 핑크, 민트 이런 색을 사용해서 더 그랬을 수 있겠어요. 사실 사진을 흑백으로 뽑아서 레퍼런스로 삼긴 해요. 어차피 색은 제 맘대로 할 거고 빛과 그림자의 명암만 확인하는 용도라서 흑백으로 뽑아도 괜찮은거죠.


그런데 갑자기 궁금해졌어. 물 속에서 흐드러지는 열매와 꽃 그림은 색상이 강한데 어떻게 지금과 같은 몽환적인 느낌으로 넘어오셨는지 말야. 


💬 최최애: 사실 대학생 때부터 빛과 그림자 사진을 많이 찍었고 늘 그것을 주제로 그림을 그리고 싶어했어요. 그런데 그 때는 빛도 그림자도 표현하기가 너무 힘들었어요. 아무리 그려도 그냥 그림자는 너무 회색이고 빛은 그냥 하얀색이고... 도저히 예쁘지가 않은거에요. 사진은 많았는데 정작 제대로 그리지는 못했어요. 그런데 김영성 작가님(=최애의 전 고용주이자 현 남편) 화실에서 일을 하면서 그림자를 그릴 수 있게 되었지요.


오...? 김영성 작가님은 극사실주의 작가님이잖아? 물고기와 곤충 같은 생물을 사진처럼 세밀하게 그리시는 작가님의 화실에서 몽글몽글한 빛과 그림자를 그리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고?

최애가 일루전 시리즈를 그리기 전에 그리던 그림 스타일이 바로 이것!

Flow 4, Oil on canvas, 65x65cm, 2015

작품 스타일이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이야기해주는 사랑스러운 최최애!

극사실주의에 기반한 빛그림자

💬 최최애: 김영성 작가 화실에서 어시로 근무했을 때 정말 많은 걸 배웠어요. 극사실주의 작품을 그릴 때 정확한 색을 선택해서 적재적소에 칠하면 될 것 같지만 그렇게 보이는 색깔만 흉내내면 '불쾌한 골짜기'처럼 엄청 어설퍼져요. 사진 파일을 엄청 확대해서 보면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엄청 다양한 색깔의 파티클들이 뿌려져있어요. 그 여러가지 색깔들을 다 화폭에 담으면서 그라데이션을 잘 했을 때 완벽하게 '진짜'같은 그림이 나오거든요. 하나의 색깔이어도 빛 번짐을 모두 다 계신해서 4~5 단계에 걸쳐 색을 레이어해야해요. 김영성 화실에서 하도 그림을 그리다보니까 저도 어느 정도 기술적인 스킬이 생기더라구요. 그 때 '이제 빛을 그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작가님 작품에 많은 레이어가 있는 건 알고 있었어. 그런데 난 작가님이 더 아름다운 색을 내기 위해서 그런 거라고 생각했거든? 유화를 하시는 작가님들은 여러 색을 얹으면서 몽글몽글한 색감을 내신다고 어디서 주워들은 건 있는 거지. 그런데 사진에 있는 빛그림자를 더 사실적으로 그리기 위한 레이어다니? 맙소사 ㅋㅋㅋㅋㅋ 난 덕후라고 해놓고 그동안 작가님 그림에서 뭘 본 걸까 ㅋㅋ


💬 최최애: 그렇게 기술이 생기니까 빛그림을 그리는 게 더 재밌어졌죠. 화려한 것만 그리는 것에 지쳐버렸는데, 이제는 정말 진짜 같은 '빛' 그리고 진짜 같은 '그림자'를 그릴 수 있게 된 데다가 색깔을 마음대로 조율할 수 있으니 그리고 싶은 것을 그릴 수 있어 신났었어요.


그렇게 최최애만의 스타일이 잡혀갔고, 빛이 산란하면서 뿌리고 간 다양한 색을 캔버스에 담을 수 있게 된거야. 우리에게 최최애의 아름다운 작품이 오기까지 이렇게 다양한 경험이 레이어 되어 있다니. 일견 그림이란 것은 평면의 시각효과를 제공하지만 그 한 폭에 담긴 이야기는 작약처럼 촘촘하게 채워져있는 게 분명해.

이거는 최윤정 그림이다!

아티스트들과 일한지 꽤 오랜 시간이 되었지만 나는 작가들이 자기 스타일을 갖고 있는 부분이 늘 신기해. 나는 창작자가 아니다 보니 내 스타일이라고 표현할 만한 게 없잖아? 그런데 우리가 어떤 목소리를 들으면 '어? 누구다!'하고 반응 하는 것처럼 그림도 '어 이거는 누구 그림이다!'하게 되지. 그런 스타일을 구축하는 데 얼마나 많은 노력과 시간이 잠들어 있었을까..

 

💬 엘덕후: 작가님 그러면 지금의 스타일을 잡게 되신 건 언제부터에요?

💬 최최애: 제가 애를 낳고 나서 과거를 잘 기억 못하는데요, (엘덕후: 암 그거 알죠, 알아요.) 김영성 화실에서 일한지 1년 정도 지났을 때, 한 2017년부터 지금 스타일을 잡게 된 것 같아요.


그 때부터 변화가 아주 없었던 건 아니지만 어쨌든 '최윤정 그림이다' 할 수 있는 그 스타일을 2017년부터 유지를 해온 우리 최애, Illusion 시리즈도 벌써 100점에 다다르고 있대.


💬 최최애: 일루전이 95점인가, 96점까지 있거든요. 중간 중간에 폐기한 작품도 있지만 그렇게 그리다보니 시리즈가 되더라구요. 과거의 작품들을 다시 되돌아보면서 그 중에서도 마음에 들었던 색감이나 스타일을 다시 살려보기도 해요. 특히 콜렉터님들께서 좋아하셨던 스타일을 이제는 일부러라도 더 그리려고 해봐요.


우리 작가님들을 덕터뷰하면서 공통적으로 느끼는 부분들 중 하나야. 사람들이 반응하는 그림을 그리려고 한다. 이런 이야기를 할 때 장난끼 있는 목소리로 '먹고 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다'라고 말하는 작가님들이 대부분이지만 난 그게 아티스트가 소통을 하기 위한 본질이 아닌가 하고 생각할 때가 많아. 아티스트로서 피할 수 없는 과정이라고 생각해.


💬 최최애: 그래서 요즘은 핑크빛에 집중을 해보려고 해요.

💬 엘덕후: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아요. 아티스트가 대중들이 원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거라고 전 확신해요. 물론 선철학 후소통으로 성공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대중과 호흡하면서 그 작품 세계가 콜렉터들의 마음에 오래 남는 경우들도 많은 것 같더라구요. 대중에게서 좋은 반응이 나오면 작가님들도 더 자신감 있게 자신의 세상을 펼쳐 놓을 수 있는 것 같아요.

💬 최최애: 맞아요. 그런 기준을 정해놓고 하니까 또 의욕이 생기더라고요. 사람들이 내 그림을 좋아할 거라고 생각하면 작업에 더 집중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빛과 그림자 - 좋은생각 1월호 수록

빛과 그림자를 그림으로 담아낼 때 나는 밝음과 어두움의 사이를 여러 번의 붓질로 곱게 펴서 그린다. 경계가 사라지고 모호해질 때 비로소 작업이 완성됨을 느끼기 때문이다. 대학원을 마치고 난 지금까지 5년이 넘는 시간 동안 한 작가의 어시스턴트로 일하고 있다. 하루 9시간 동안 작은 세필 붓으로 캔버스에 정교하게 그려내는 작업이다. 일을 시작하고 한동안은 작가분의 작업과정을 바로 옆에서 배울 수 있다는 점이 감사하고 흥미로웠다. 그러나 6개월 쯤 되었을 때부턴 같은 작업의 반복됨이 단순노동처럼 느껴져서 점점 몸과 마음은 고되고 힘들어졌다. 무엇보다 더 나를 지치게 만든 건 일하는 기간 동안 내 작업은 한 점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머릿속은 늘 작업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 찼지만 딱히 표현하고 싶은 대상조차도 없었기에 이러다 평생 내 작품을 만들지 못하면 어쩌나 싶어 늘 조급하고 불안했다. 어느덧 일한 지 1년쯤 되어가던 여름날, 퇴근길에 멍하니 걸어가던 중 내 발걸음을 멈추게 했던 순간이 있었다. 그날은 차갑게만 느껴졌던 낡은 콘크리트 벽면에 몽글몽글한 빛 그림자가 나무 사이로 드리워져 있었는데 마치 큰 캔버스에 완성된 그림을 보듯 인상 깊었고 나의 힘들었던 시간들을 위로받는 듯 따스했다. 그날 이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빛과 그림자는 나에게 아주 특별해졌고 지금은 그 빛나던 장면이 나의 그림 소재가 되어 4년 째 신진 작가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작업의 방향이 잡히자 이젠 어느 곳에 가서 무엇을 하든 빛과 그림자를 찾아다니며 사진으로 담아내는 버릇이 생겼다. 그림을 그리기 위한 멋진 사진을 찍게 된 날은 노다지를 찾아낸 듯 행복해하는 내 모습을 발견한다. 돌이켜보면 그때에 힘든 나날들이 내가 발전할 수 있던 중요한 시간이었을 것이다. 어두움의 시기였지만 그곳을 매일 오가지 않았더라면 지금의 밝은 나의 작업도 시작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컴컴한 밤이 지나 눈부신 아침이 오듯, 빛과 그림자는 늘 우리 옆에 공존하고 있다.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오늘도 난 빛과 어둠의 경계를 모호하게 풀어내는 작업 과정을 통해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꾸준한 붓질로 나의 그림 속 빛과 그림자가 더욱 따스하고 부드럽게 표현되어 내 그림을 관람하는 이들에게도 잠시나마 푸근한 휴식과 작은 치유의 시간이 되길 바라본다.

More Interviews.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밴드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