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나 양벼락이야.
하이루? (^ㅡ^)/ 엘덕들아, 나 최승윤 편 하나를 위해서 정말 얼마나 많은 공부(?)를 했는지 몰라. 이렇게 열심히 녹음 파일을 반복해서 듣고, 인터스텔라 훑어보고, 블랙홀 관련 자료 찾아보면서 열심히 써본 적은... 대학원 논문 썼을 때 말곤 없는거 같아 ㅎㅎㅎ 내 '코드'가 핫한지 아닌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최승윤 코드'는 핫하니까 그 코드에 편승해서 엘덕들의 마음에 가닿으면 좋겠다는 마음 뿐이야! 히히.
최승윤 2편 들어가는데, 1편과 꼭 연달아 보길 바라. 나름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고민 많이 했으니까. 1편 보고 온거 체크 받으시고~ 이번 편 같이 읽어보자!
<인터뷰를 빙자한 덕질, 덕터뷰> 최승윤 2편
세상을 움직이는 근본적인 힘을 담아
삐끗할 것인가, 한 끗 차이를 만들 것인가
점점 완성되어가는 최최애의 작품. 네이버 온스테이지와 함께 퍼포먼스 드로잉을 할 때의 모습이야.
어디로 튈지 모르고, 어떤 색깔이 서로 섞일지도 가늠할 수 없는 미지의 공간에 있는 것 같지만 '멋지다!'라는 탄성이 나오는 이유는?
💬 엘덕후: 말씀을 듣고 보니, 작가님의 작업이란 게 결국 캔버스 위에서 그 차이를 포착하는 과정 같아요. 삐끗함이 없는 작품, 어색함이 없는 작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인거네요.
🔵 최최애: 맞아요. 내가 만든 화면의 에너지가 내가 봤을 때 괜찮다고 여겨질 때까지 가는 훈련을 하는 거예요. 저의 그림은 불안하고 유동적이고 어디로 튈지 몰라요. 하지만 본능적으로 우리는 잘한다 못한다를 구분하잖아요. 그래서 내가 봤을 때 괜찮다고 느껴져야 비로소 작품이 되는 거예요.
💬 엘덕후: 그 말씀을 들으니까 기억나는 장면이 있어요. 작가님께서 개인전 여셨을 때 파란색 바탕에 금색 물방울 두 개가 있는 것 같은 소품 작품이 있던 전시였어요. 작가님이 설명해주시기로는 쌍둥이 임신하신 분이 소장해 가셨다고 해서 기억이 나요. 그 전시에서 어떤 큰 작품이 너무 멋진거에요. 그래서 제가 작가님께 "작가님 저 작품 진짜 잘 나온 것 같아요!" 라고 말씀 드렸을 때, 작가님도 화색을 띄면서 "그쵸,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정말 맘에 들게 나왔어요"라고 하셨던 적이 있었어요. 작가님의 작품에 담겨있는 철학을 열심히 듣고 보니, 저도 작가님이 말씀하시는 '한 끗 차이'를 알아본 거네요. 단순한 칭찬을 드린 것이 아니라 화면의 에너지가 예술의 힘에 도달했음을 저도 작가님도 함께 확인하는 순간이었던 것 같아요.
🔵 최최애: 네, 바로 그 순간이에요.
최최애의 작품은 계산으로서는 나오기 힘든 형태로 작업되지. 물감을 뿌리거나, 뿌린 물감을 도구를 사용해서 밀거나, 이미 밀어버린 물감 위에 물감을 한 번 더 뿌리기도 해. 뿌리다보니 여기저기 튀는 흔적도 있게 마련이지. 그런데 그 모든 흔적이 자연의 모습인 것처럼 아름다워 보이는 것, 그 상태에 도달했을 때 작품이 최최애의 코드에 맞아 떨어질 때, 그리고 우리들 앞에 보여졌을 때 '우와-' 하는 그 순간을 우리 최애는 연구하는 거야.
역설이 성립하는 작품
💬 엘덕후: 처음에는 블랙홀 얘기를 들으면서 막연하게 느꼈는데, 이제는 이해돼요. 블랙홀이라는 게 결국 시간 개념을 기준으로 봤을 때 밖에서 보느냐 안에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잖아요. 그래서 우리가 블랙홀 안에 있는 게 맞을 수도 있고, 밖에 있는 게 맞을 수도 있다. 역설이란게 논리적으로는 성립하지 않지만 작가님 작품은 역설이야말로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정지의 시작’ 같은 작품이 나오는 거고, ‘화려함의 단면’ 같은 제목이 붙는 거예요. 결국 사람들이 귀신같이 “좋다”라고 느끼는 건 그 에너지가 제자리를 잡았다는 뜻일 거예요.
🔵 최최애: 맞아요. 근데 또 어쩔 때는 많이 그리냐 적게 그리냐가 중요한 게 아니에요. 어떤 그림은 한 큐에 잘 나오고, 또 어떤 그림은 여러 번 해도 결과가 별로일 수 있어요. 음악도 그렇잖아요. 명곡이 몇 분 만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고, 합이 잘 맞는 순간이 있어요. 주식시장도 어떤 회사가 30년 동안 버티다가 어느 날 갑자기 합이 맞아서 주가가 확 오르는 것처럼요. 사람마다 재능이 있고, 그 재능은 순간적으로 터지기도 해요. 제 작품도 그 에너지를 찾아가는 과정이에요.
💬 엘덕후: 말씀을 들으니까, 작가님의 작업은 인간과 코드가 맞는 어떤 순간의 합이면서 '한 끗 차이'가 만들어내는 운명 같은 순간을 표현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 최최애: 네, 제 그림을 보는 사람들도 그런 순간이 올 거에요. 안 그럴 수도 있지만, 한 순간 생각지 못한 계기로 반짝이는 깨달음이 오기도 하거든요. 제가 작업노트를 길게 썼던 것도 사실 그런 깨달음을 얻는 과정이었어요. 어떤 날은 일기처럼 쓰기도 했고, 어떤 날은 사유의 기록이기도 했고. 그러다 갑자기 깨달았고, 그것으로 작업을 하는 거예요.
💬 엘덕후: 기억나요! 처음 계약할 때 주셨던 작업노트 파일이 거의 백 페이지 가까이 됐었어요! 일기장처럼 쓰셨던 것 같기도 해요 ㅎㅎㅎ 얼마 전에 작가님 신작 출시하면서 다시 꼼꼼히 읽을 기회가 있었는데, 다시 읽고 난 후에 덕터뷰를 하다보니 갑자기 반짝 하면서 작가님의 작업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 것인지 통으로 이해가 가기 시작하는 것 같아요!
결국 최최애가 작품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시작과 끝, 삶과 죽음, 멈춤과 흐름이 동시에 성립하는 세계인 것 같아. 그것이 동시에 성립한다는 것을 블랙홀을 통해 은유하는 것이고, 하나의 점이면서 온 우주를 뜻하는 존재의 역설을 작품의 에너지로 담아내는 거지.
철학을 담은 캔버스, 감응하는 우리
최최애는 크게는 우주, 작게는 모든 입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운용되는가를 고민하는 철학자 같아. 그 과정에서 블랙홀이라는 개념을 작가의 시선으로 해석했고, 세상은 기본적으로 '역설'이라는 깨달음을 얻은 것이지. 최애는 우주를 이루고 있는 입자들은 모두 불안정한데, 중력과 같이 입자들을 끌어 당기는 근본적인 힘은 무엇인지 사유하고 그리는 행위를 함으로써 캔버스에 자신의 생각을 펼쳐 놓는 것일 수도 있겠어. 별 것 아닌 것 같은 차이가 사실은 엄청난 간극이라는 걸 귀신같이 알아차리는 '인간'이라는 존재들만 반응할 수 있는 그 미묘한 차이를 그리는 것이지. 순간의 머뭇거림이 모든 걸 무너뜨리기 때문에 최애는 계속 훈련을 해. 인간이 반응하는 '코드'에 맞는 상태가 될 때까지.
골머리 앓으면서 쓴 이번 덕터뷰를 어느 정도 정돈하고 나니 '정지의 시작', '화려함의 단면', '반대의 법칙과' 같은 최애의 작품 제목들이 이제는 '세상은 역설을 토대로 한다!'는 대담한 선언처럼 들려. 그런데 최최애가 세상을 향해 전하는 메세지는 그것만으로 완성되는 건 아닌 것 같아. 이 작품을 감상하는 엘덕이들과 같은 '인간'들이 최애의 '코드'에 감응하여 '이것이 예술이다!'라는 것을 기가 막히게 알아차리는 그 순간에 도달했을 때, 그때야말로 비로소 세상을 움직이는 근본적인 힘을 담은 작품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닐까?
최승윤의 작가 노트
나는 그림도 하나의 생명체이거나 하나의 우주라고 생각한다.
생명을 만들기 위해서는 세상의 법칙을 그림에 담아야 한다고 생각했고,
내가 생각한 세상의 법칙은 ‘반대의 법칙’이다.
‘정지의 시작’ ‘자유의 법칙’ ‘순간의 단면’ 등의 시리즈들은 세상의 여러 반대성을 표현한다.
움직임의 역설, 자유의 역설, 시간과 공간의 개념 등 세상에 존재하는 반대의 법칙들을 표현한다.
이들은 모두 비슷하지만 다르고, 닮아있지만 분명히 다른 존재이다.
푸른색은 일반적으로 차가운 색감이지만, 가장 뜨거운 색도 푸른색이듯이 역설적인 색이다.
또한 하늘도 푸른색, 물도 푸른색, 지구도 푸른색. 푸른색은 역설이 세상의 기본이라는 나의 개념과 가장 잘 맞는 색상이다.
하지만 반대의 법칙에 의해 단색 후엔 다양한 색이, 단순한 그림 뒤엔 화려한 그림이.
이런 식으로 나는 세상의 법칙에 의해 나의 우주를 펼쳐가고 있다.
More Interviews.